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사업

2025년 청년 자산 만들기 전략

by monyjoy 2025. 7. 28.
반응형

2025년,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중심으로 청년들이 현명하게 자산을 쌓는 방법을 전략적으로 정리했습니다. 각 제도의 장점을 잘 파악하고, ‘나에게 맞는’ 조합으로 실행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

1️⃣ 청년도약계좌: 5년 장기 챙겨야 하는 메인 통장

  • 대상: 만 19~34세
  • 납입 한도: 매월 1천 원~70만 원 자유 납입
  • 정부 지원: 월 최대 3만 3천 원 매칭 지급, 비과세·신용점수 가산점(+5~10점) 효과 (YL 계좌, 생활의 한가운데)
  • 중도 인출: 2년 유지 시 원금의 최대 40% 인출 가능, 단 3년 미만 인출분은 지원금 제외 (생활의 한가운데)
  • 유지 조건: 3년 이상 유지 시 정부 지원금 60% 보장, 5년 완주 시 최고 이율 체감(연 9.54%) (생활의 한가운데)
  • 꿀팁: 소득에 따라 자기 부담 및 매칭금 조정 필요. 자동이체 설정 + 2년 후 부분 인출·3년 완주 전략 세우기 좋아요.

2️⃣ 청년내일저축계좌: 중단기 저축 레벨업

  • 대상: 낮은 소득의 근로 청년 (19~39세, 소득 구간에 따라 가입 범위 및 지원 달라짐) (관악구청)
  • 납입 & 정부 지원:
    • 차상위 이하: 월 10만 원 + 정부 30만 원
    • 차상위 초과~중위소득 100% 이하: 월 10만 원 + 정부 10만 원 (국제개발협력, 관악구청)
  • 만기 후 수령(3년): 최대 1,440만 원 + 이자, 온라인 신청·관리, 교육 및 자금계획서 제출 필요 (작은 지식 공장 ™)
  • 2025년 개선 포인트: 근로소득 상한 월 230→250만 원 상향, 온라인 관리 가능 (퍼플마블)
  • 꿀팁: 자동이체 설정은 필수. 신청 기간(5월 초)을 챙기고, 소득 증빙이나 자가진단 사전 확인 필수.

3️⃣ 두 계좌 비교 전략

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

기간 5년 3년
목표액 최대 5천만 원 이상 최대 1,440만 원
정부 지원 매월~3.3만 원 매칭 + 비과세 + 신용점수 매월 10~30만 원 장려금 + 고금리
중도 인출 2년 후 40% 인출 가능 불가능
가입 조건 소득 중간층 포함 저소득층 중심
활용 조합 추천 장기 목돈형 단기목돈 구간형
  • 저소득 혹은 3년 내 목돈원하면: 내일저축계좌 먼저
  • 중장기 자산 형성 목표라면: 도약계좌
  • 소득 조건에 맞으면 두 계좌 병행 가능: 3년 후 내일저축 → 도약계좌 지속 추천

4️⃣ 추가 활용 팁


✅ 마무리

  • 단기 목표? 청년내일저축계좌로 시작 → 3년 후 1,440만 원+α 확보
  • 장기 목표? 청년도약계좌 5년으로 최대 5천만 원 자산 마련
  • 소득 조건 체크 & 자동이체 설정 후, 두 계좌 전략 병행 가능
  • 중간 점검: 2년차 인출 선택 & 신용점수 가산도 노려보세요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