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2025년 청년이 누릴 수 있는 취업·주거·금융·자산형성·문화·복지 혜택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1. 청년도약계좌
- 대상: 만 19~34세 근로·사업소득 청년
- 혜택: 매달 최대 70만 원 저축 시 정부 매칭 지원, 비과세·신용점수 가점 포함. 5년 유지 시 총 5천만 원까지 자산 형성 가능 (zip)
- 차이점 비교: 2025년 기준 매칭 한도·소득요건 완화, 중도 해지 인출 가능 옵션 추가 (내 인생의 금융 파이프 라인)
2. 청년내일저축계좌
- 대상: 만 19~34세 저소득 근로 청년
- 혜택: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 지원금 최대 월 30만 원, 3년 뒤 총 1,440만 원 수령 가능 (Brunch Story)
- 2025년 변경 내용: 신청소득 기준 100→120%로 완화, 근속 조건 6→3개월로 축소, 일부 중도 해지 면제 확대 (마니정보)
3. 청년월세지원
4. 청년구직활동지원금 (청년수당)
- 대상: 만 19~39세 미취업 청년
- 혜택: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, 진로상담·멘토링 포함 (정책 모음)
5. 청년문화예술패스
- 대상: 만 19세 청년
- 혜택: 연 15만 원 문화 콘텐츠 관람비 지원 (국비 10만 + 지방비 5만) (Brunch Story)
6. 청년월세대출
-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
- 혜택: 월 최대 20만~25만 원 대출 가능, 연 1.0% 저금리 (다나와 집(부동산 분양,청약 정보))
- 2025년 변경: 중위소득 기준 150→180%, 월세 한도 20→25만 원, 최대 이용 기간 12→18개월 확대 (다나와 집(부동산 분양,청약 정보))
🔍 비교 요약표
혜택 유형 대상 연령 지원 내용 특징 및 변경점 요약
청년도약계좌 | 19~34세 근로 청년 | 월 최대 70만 원 저축, 정부 매칭, 비과세·신용가점 | 매칭한도 및 조건 완화, 인출 가능 |
청년내일저축계좌 | 19~34세 저소득 청년 | 월 10만 + 지원금 30만, 총 1,440만 원 | 소득 기준 완화, 중도 해지 면제 확대 |
청년월세지원 | 19~39세 무주택 | 월세 최대 20만 원 × 24개월 | 주거 부담 완화 지원 |
구직활동지원금 | 19~39세 미취업 청년 | 월 50만 원 × 6개월 | 멘토링·심리 프로그램 포함 |
문화예술패스 | 만 19세 청년 | 연 15만 원 문화활동비 | 국비+지방비 지원 |
청년월세대출 | 19~34세 무주택 | 월세 대출 월 최대 25만 원, 연 1.0% 저금리 | 소득조건 완화, 기간 확대 |
반응형
'정부지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청년 지원 정책 모음 – 티스토리 블로그 가이드 (6) | 2025.07.26 |
---|---|
2025년 청년 혜택 총정리 (6) | 2025.07.25 |
2025년 청년 정책 총정리: 취업·주거·교육·복지·문화·참여까지 한눈에 (10) | 2025.07.24 |
2025년 청년 지원금 후기 총정리: 구직수당부터 디딤돌까지 생생 리뷰 (12) | 2025.07.24 |
2025년 광주 청년정책 총정리: 취업·주거·교육·복지·참여까지 한눈에 (20) | 2025.07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