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금

2025년 서울시 청년수당 안내: 대상·신청·혜택 한눈에 파악

by monyjoy 2025. 7. 20.
반응형

 

 

 

1. 사업 개요

  • 대상: 만 19세~34세 서울시 거주자 중 최종학력 졸업한 미취업 청년 (단기근로자 주 30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도 포함, 제대군인은 기간 연장 가능)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모집 기간: 2025년 3월 6일(목) 10:00 ~ 3월 13일(목) 16:00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참여 규모: 약 20,000명 내외 (서울시청소년센터)

2. 지원 내용

  • 매월 50만 원 지급, 최대 6개월 동안 총 300만 원 지원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활동지원 프로그램: 맞춤형 진로 상담, 강점 진단, 멘토링 및 승신 프로그램 등이 함께 제공됨 (서울시청소년센터)

3. 신청 자격

  • 만 19~34세 서울시 거주자
  • 최종학력 졸업 또는 졸업예정자 (재학생 및 휴학생은 신청 불가, 학점은행제 등 예외 가능)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미취업자 또는 단기근로자(주 30시간 이하 또는 3개월 이하 계약) 가능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,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·실업급여 수급자 등은 제외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과거 해당 사업 참여 이력이 있는 경우 지원 불가 (2017~2025년 1회 한정) (서울시청소년센터)

4. 신청 방법

  • 청년몽땅정보통에서 온라인 접수만 가능 (방문·우편 접수 불가)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필요 서류: 최종학력 졸업증명서, 단기근로계약서(해당자), 제대군인 병적증명서‧초본(만 35~37세 해당자) (서울시청소년센터)

5. 선정 절차 및 일정


6. 지급 방식 및 사용 가이드

  • 매월 29일 또는 직전 평일 지급 (첫 회차는 7월 29일 예정)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체크카드 사용 원칙, 일부 계좌이체 가능 (전기·가스·수도·학자금 상환·자격증 응시료 대상)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유흥·도박·귀금속·상품권 구매·적금 등 자기재산 축적 용도, 해외 결제는 사용 불가 (서울시청소년센터)
  • 잔액은 자동 이월, 잔여 금액으로 인강·전자기기 구매 가능 (미디어허브 서울)

7. 실제 참여 후기 요약

  • 주 30시간 이하 근무하면서도 수당 수령 가능하며, 자기활동기록서 작성 이후 별도 번거로움 없음 (TAKE ME TO THE WORLD)
  • 통신비·교통비 등 공과금 사용 가능하며 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 (미디어허브 서울)
  • 수당의 일부를 전자기기 구입에 사용해 취업 준비에 도움 되었다는 실제 후기 존재 (미디어허브 서울)

8. 주의 사항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