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금

2025년 청년 대상 복지혜택 비교 총정리

by monyjoy 2025. 7. 25.
반응형

2025년 청년이 누릴 수 있는 취업·주거·금융·자산형성·문화·복지 혜택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

1. 청년도약계좌

  • 대상: 만 19~34세 근로·사업소득 청년
  • 혜택: 매달 최대 70만 원 저축 시 정부 매칭 지원, 비과세·신용점수 가점 포함. 5년 유지 시 총 5천만 원까지 자산 형성 가능 (zip)
  • 차이점 비교: 2025년 기준 매칭 한도·소득요건 완화, 중도 해지 인출 가능 옵션 추가 (내 인생의 금융 파이프 라인)

2. 청년내일저축계좌

  • 대상: 만 19~34세 저소득 근로 청년
  • 혜택: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 지원금 최대 월 30만 원, 3년 뒤 총 1,440만 원 수령 가능 (Brunch Story)
  • 2025년 변경 내용: 신청소득 기준 100→120%로 완화, 근속 조건 6→3개월로 축소, 일부 중도 해지 면제 확대 (마니정보)

3. 청년월세지원

  • 대상: 만 19~39세 무주택 1인 가구 청년
  • 혜택: 월 20만 원 최대 24개월 지원, 주거 안정에 직접적 효과 (zip, 프리미엄 콘텐츠)

4. 청년구직활동지원금 (청년수당)

  • 대상: 만 19~39세 미취업 청년
  • 혜택: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(총 300만 원), 진로상담·멘토링 포함 (정책 모음)

5. 청년문화예술패스

  • 대상: 만 19세 청년
  • 혜택: 연 15만 원 문화 콘텐츠 관람비 지원 (국비 10만 + 지방비 5만) (Brunch Story)

6. 청년월세대출


🔍 비교 요약표

혜택 유형 대상 연령 지원 내용 특징 및 변경점 요약

청년도약계좌 19~34세 근로 청년 월 최대 70만 원 저축, 정부 매칭, 비과세·신용가점 매칭한도 및 조건 완화, 인출 가능
청년내일저축계좌 19~34세 저소득 청년 월 10만 + 지원금 30만, 총 1,440만 원 소득 기준 완화, 중도 해지 면제 확대
청년월세지원 19~39세 무주택 월세 최대 20만 원 × 24개월 주거 부담 완화 지원
구직활동지원금 19~39세 미취업 청년 월 50만 원 × 6개월 멘토링·심리 프로그램 포함
문화예술패스 만 19세 청년 연 15만 원 문화활동비 국비+지방비 지원
청년월세대출 19~34세 무주택 월세 대출 월 최대 25만 원, 연 1.0% 저금리 소득조건 완화, 기간 확대

 

반응형